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약 차이점 ?

by 심 프로 2023. 12. 20.

청년들이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목돈마련 저축'  대표적인 2가지 금융상품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용어가 참 비슷비슷합니다.  솔직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청년 금융상품이 나와서 소비자로서는 혼란스럽긴 합니다. 이번에 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할게요.

 

청년희망적금

1) 특징

  1. 2022년 2월 출시, 기간 2년 (만기일 2024년 2월)
  2. 매달 50만 원까지 납부
  3. 만기금액 : 18개월 동안 50만 원씩 납입 시, 최종 만기금액 1,260 만원 
  4. 연 10% 금리효과 ( 공식적으로 9.31% )
  5. 중도해지율 24% (4명 중 1명 해지)
  6. 50만 원 이상 납부자 해지율 14.8%, 10만 원 이하 납부자해지율 49.2% (돈 없으면 해지율 높음)
  7. 34세 해지율 21%, 19세 해지율 27.9% (역시 돈 없으면 해지율 높음)
  8. 대상 : 연봉 3,500만 원 이하
  9. 나이: 만 19세 ~ 34세 청년

2) 문제점

  1. 나이가 어리거나 아직 안정적 소득을 못 가진 경우 해지율이 높게 나타남
  2. 2년 기간 동안 해지율이 24% 나 발생
  3. 중도해지율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

 

청년도약계좌 

1) 특징

  1. 2023.6월 출시
  2. 만기 5년
  3. 매달 최대 70만 원 납부 시, 5년 후 5,000만 원 목돈 만들기 계좌
  4. 가입대상 7,500 만원 이하 (가입조건 느슨해짐)
  5. 나이: 만 19세 ~ 34 세 청년 (군복무기간 최대 4년 가산)
  6. 혜택 : 이자소득세 15.4 % 제외 (비과세 혜택)
  7.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X
  8. 청년내일 채움 공제 O
  9. 청년 내일 저축 계좌 O 
  10. 개인소득 정보제공 동의, 1년마다 개인소득 유지심사 
  11. 6,000만 원 이상 소득시 정부지원금 중단
  12. 가구소득 : 가입시점에서 한 번만 봄 (중위소득 180%)

 

맺음말

청년희망적금 2024년 2월 만료 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2년 납부하였으니까,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경우 3년만 더 납부하면 총 5년 납부가 됩니다.  갈아탄다고 새롭게 5년이 되는 게 아니고요.  그렇지만 앞으로 3년이나 더 납부해야 되니까 쉬운 일이 결코 아닙니다.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청년 희망적금 중도해지율이 24% 나 됩니다.  돈을 안정적으로 벌지 못하는 어린 나이거나, 소득이 적은 경우 해지율이 더 높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중도해지를 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도해지하지 않을 상황에 대비하면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