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지거래허가제3

목동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 해제 ? 오세훈 시장 발언 주목 2024년 4월 26일, 압구정, 여의도, 목동, 성수 토지거래허가제 (토허제) 만료시점이 다가옵니다. 토허제에 해당되는 지역에서는 4월 총선을 앞두고 기대감에 잔뜩 들떠있는 상황인데요, 신문기사를 통해 흘러 나오는 소식은 그 반대 상황인것 같습니다. 토지거래허가제 ‘토허제’ 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갭투자’ 가능 여부 때문입니다. ‘토지거래허가제’ 는 일정규모 이상 주택,상가, 토지 등을 거래할 때 관할 시자의 허가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매수 후 실거주 2년을 꼭 해야합니다. 따라서 갭투자를 목적으로 집을 사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집값 상승을 억눌러 주는 효과를 기대하며 ‘토허제’ 를 실시하고 있다고 봅니다. 토허제 지역들 4.26 : 압구정, 여의도, 목동, 성수동 5.19 : 이촌동, .. 2024. 3. 20.
부동산 거래정보 서울거래량 년도별 비교 2020.1월부터 2020.12월까지 부동산 매매 거래량을 보면 6천건이상 이뤄진다. 21년 9월부터 2천건 이하로 뚝뚝 떨어지기 시작한다. 절반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2022년에는 거래량이 1천건도 되지 않는다. 엄청난 시절을 보냈구나. 평균 거래량중 80% 가 사라진 셈이다. 2023년으로 와보자. 2023년에 거래가 다시 올라오기 시작해서 6월에는 3800건까지 회복되었다. 평년의 절반수준이지만 그럼에도 많이 회복하였다. 이유가 무엇일까? 부동산 가격이 많이 떨어졌기 때문 가격이 많이 떨어졌기 때문에 실수요자들이 실거주용으로 구입을 시작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금리가 오를 만큼 올랐기 때문에 이제 떨어질 일만 남았기 때문에 실수요자들이 주택 구입에 나섰다는 이야기다. 이 분석이 맞다면, 실수요자들이.. 2023. 8. 10.
토지거래허가제 서울시 목동, 잠실 아파트 가격 어떻게 되는거니? 올해 (2023년) 가을쯤, 2년전 부동산 전세폭등 때 올랐던 전세물량이 2년이 되어서 뚝 떨어진 전세가격을 어떻게 방어할지 그 결과가 나올 차례다. 집주인들 입장에서는 고점대비 30~40% 떨어진 전세값을 돌려주거나, 그만큼 이자비용을 월세처럼 지불해야한다. 세상 살다보니 이런 희안한 일도 다 생길 수도 있겠구나.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토지거래허가제 듣기는 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 토지거래허가제 ? 이름만 들어도 무섭다. 토지를 거래하는데 뭔 허가를 받지? 자본주의사회에서 토지를 거래하는데 허가를 받아야하는 제도가 있단말인가? 토지거래허가제가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기로 한다. 대충 내용을 살펴보니, 갭투자 방지를 위해서 매수시 2년을 꼭 살아야지만, 매매가 가능하다고 한다. 전세를 안고 매수하는것.. 2023.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