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호가 상승, 실거래가 상승. 지역편중 서울 아파트 가격추세

by 심 프로 2023. 9. 27.

"봤어요?  가격이 1억이상 올랐어요.. 집값이 오르는 걸까요 ? "

가을철에 역전세난이 더 심각해지면서 집값이 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 예상한 전문가 말이 무색해지는것일까?  요즘 집값이 반등하는 이유는 실수요자들이 집을 매수하기 때문이고, 그 실수요자 매수 모멘텀이 떨어지면 집값은 하락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하는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이 빗나간 것일까?  대세 하락 시작 바로 직전의 마지막 꿈틀거림일까? 

 

부동산 호가 상승, 실거래가 상승

부동산 가격 상승, 하락을 생각하기 전에 그 물건이 어떤 물건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가 신문에서 보는 부동산 통계자료는 특정 지역이 아니라, 전국 부동산 평균치를 말한다. 따라서 부동산 하락, 또는 상승이라 말하는 것은 전국 평균이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서는 보편전 통계와 상반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우리나라 전국에서 비가 오는 곳이 있는 반면, 어떤 지역은 해가 쨍쨍 빛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세계지도를 보고 더 넓게 보면 계절에 따른 날씨 특성은 존재한다.  

 

강남권 일부지역에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서 예전 가격을 거의 회복하다가 요즘 살짝 또 주축해졌다고 한다.  그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국내 부동산 방향을 가늠하는 것은 어렵다.  다른 지역은 또 다른 지역적 특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강남권 이외에 재건축 이슈가 있는 상계동, 목동 지역을 둘러보니 목동지역은 최근 가격 반등이 이뤄져서 호가뿐만 아니라 실거래 가격까지 올라간 상황이다.  이를 실수요자들이 끌고가는 시장이라 보는것일까.  실수요자들 매수가 끊어지면 가격은 다시 하락하게 되는것일까?  24년, 토지거래허가제가 풀리면 투기세력이 유입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다시 또 어떻게 꿈틀거릴지 모르는 시장이 바로 목동이다.  

지역편중 서울 아파트 가격추세

서울 아파트 가격이 여기저기 꿈틀 거리다.  더 늦기 전에 집을 사야하는 것이 맞는것인지, 아니면 기다렸다가 가격이 떨어진뒤 사는게 맞는건지 시민들은 참 헷갈린다.  부동산은 올라도 걱정이고, 내려도 걱정이다.  부동산은 실수요자와 투기세력이 섞여있는 시장이기 때문에 가격을 판단하기가 쉽지않다.   올 하반기 역전세난이 심화될것이라는 전망이 어떻게 해결되는지 계속 지켜볼 생각이다.